2018년을 기준으로 초.중.고등학생의
소프트웨어 의무화 교육이 도입되어가며
많은 집중을 받고 있는 소프트웨어!
이제는 대입 입시준비도
소프트웨어 특기자전형이 생긴만큼
정부나 대학교 입학처에서도
IT전문가들을 양성하려고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SW중심대학으로 선정된 학교는 수업이
늘어나고 있으며 말그대로 포트폴리오와 자격증,
실무능력을 갖춘 학생들을 뽑겠다는 의지가 강합니다.
학교를 입학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들을
했는지를 보는 전형인거죠.
SW학과에대한 전공대비는 진행할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실시가 되고 있는 상황 대부분 학생들이
대학진학을 위해 내신관리에 급급하다
보니 정작 본인이 나아가고자하는
SW학과에대한 전공대비는 진행할 수 없는것이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내신관리와 함께 SW분야의 공부를 진행하며
대학을 진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특기자전형을 2018년도부터 실시한답니다.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학생부 관리와 함께
소프트웨어 관련 공부를 진행하며,
포트폴리오 교외수상 등을 통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한다면
진학 전 전공대비에 대한 준비도 할 수 있으며,
내신에 대한 부담도 조금을 덜어가며
대학 진학을 준비해 볼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특기자 전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외수상의 경우 C언어, 알고리즘 등의
코딩에 대한 공부를 진행하며 한국 정보올림피아드에
참가하여 입상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역단위, 전국단위로 진행되는 대회이기 때문에
수상이 실질적으로 쉽진 않지만,
경험을 쌓는 부분도 중요한 요소 또한 학생부에 기재하여
가산점을 얻어볼 수 있는 국가공인자격증 또한 취득하여
특기자전형에 대한 대비를 진행하는 것도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작성하여 기록을 하며,
보여주기 위함이기도 한 것입니다.
본인이 직접 공부를 했던 내용을 정리하거나,
복습하는 용도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면 되는거죠.
실제로 본인이 갖추고 있는 실력을 나타내어 줄 수 있는
무기로 주제를 하나 선정하여
최대한 많은 지식을 표현해내어 주면 됩니다.
리눅스마스터와 네트워크관리사는 생활기록부에
기재되는 자격증이며, 사실상 소프트웨어 관련 공부를
했다고 보여줄 수 있는 것은 포트폴리오와 자격증 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준비를 통해
특기자 전형을 준비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프로그래밍, 서버,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하죠.
현실적으로 독학을 통하여
S/W 전형을 준비하긴 어렵습니다.
학교 공부를 하면서 위에서 언급한
자격증과 지식을 쌓기엔
너무나도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하죠.
이러한 점을 도와주기 위해서
교육기관이 있는겁니다.
S/W 전형 혹은 그 외에 IT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신속하고 친절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
'IT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보안전문가 : 악성코드 분석전문가(화이트해커) (0) | 2017.07.10 |
---|---|
웹엔지니어란? (0) | 2017.07.10 |
방학맞이 파이썬(Python) 공부 준비 !! (0) | 2017.07.08 |
정보보안 : 정보보안기사 (0) | 2017.07.08 |
정보보안전문가 : 디지털 포렌식 (0) | 201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