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
SW중심대학에 이어서
이러한 대학에 지원을 하기위한
SW특기자전형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전에는 컴퓨터에 관심이 있어서 어렸을 때 부터
컴퓨터 공부를 하고, 관련 대회도 이리저리 나가며 준비를 했어도
결국 대학은 언, 수, 외, 탐 위주로 공부를 해서
학교 내신에 따라서 그리고 수능 점수에 따라서 대학을 가게되었기 때문에
컴퓨터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도 좋은 대학교를 가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컴퓨터에 대한 관심을 접어두고 내신에 집중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주입식 교육으로 인해서 학생들은 '때'를 놓쳐버렸습니다.
애플의 스티븐잡스, 페이스북의 저커버그,
유튜브의 스티브 첸과 채드 헐리 등
외국에는 끊임없이 나오는 IT천재들이 나오는데
IT강국이라고 말하는 우리나라에는 왜 이러한 인재가 나오지 않을까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실태 때문입니다.
이러한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개선에 개선을 거듭하여
올해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의무화가 진행이 되었습니다.
2018년도부턴 중, 고등학생
2019년도부터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정보교과에 코딩교육이 편성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어렸을 때부터 창의력, 논리력,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등
다양한 부분에서부터 머리를 키워나가는 것이죠
공부를 하면서 컴퓨터쪽으로 특출나게 관심을 갖고
열심히하는 학생들이 있을겁니다.
이런 학생들을 위해서 2017년도부터 적용된 특별전형이 있죠.
바로 SW특별전형입니다.
SW특별전형은 내신성적 반영비율은 적은데 비해서(학교마다 다릅니다)
컴퓨터 관련 활동 (IT관련 대회, 포트폴리오, 자격증, 면접) 반영비율이
상당히 높은 특별전형입니다.
2017년도 기준 SW특별전형입니다.
국민대의 경우엔 교과성적이 36.8% 나 들어간거에 비해서
부산대의 경우엔 교과성적이 전혀 들어가지 않고 오로지 컴퓨터 활동만 봤거든요.
대학교마다 중점을 두고 보는 것들이 모두 다르기때문에
학생들의 내신에 따라서, 컴퓨터 관련 실력에 따라서
전형에 맞는 대학교로 지원을 해서 들어가면 좋을듯하네요 ^^
대회의 경우엔 정보 올림피아드 같은 큰 대회가 있구요.
포트폴리오는 말 그대로 작품.
학생의 창의력과 기술력 모든것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면접을 볼 때에는 본인이 만든 포트폴리오, 자격증, 대회 관련해서
면접이 진행되고 고등학교 3년동안 활동했던 활동등에 대해서
그리고 학생의 진로에 대해서 주로 질답이 오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에 기본적으로 공부하고 준비해야하는 분야는
컴퓨터쪽에 집중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지금까지 SW중심대학과 SW특기자전형 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뿐만 아니라 IT관련 직업군과 취업준비 등
다양한 방면에서 무료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니
궁금하신 점이나 문의주실 점 있으시다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IT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아이티뱅크에서 정보올림피아드준비하자, (0) | 2018.03.02 |
---|---|
생활기록부. 생기부에 기입가능한 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 (0) | 2018.02.28 |
SW중심대학과 SW특기자전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0) | 2018.02.27 |
코딩교육의무화, 코딩강사로 취업걱정 NO! (0) | 2018.02.27 |
정보보안전문가의 직업종류와 채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0) | 2018.02.27 |